운영체제( OS란? )
- 사용자의 하드웨어, 시스템 리소스를 제어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window, mac OS가 있다.
개발자는 Linux를 알아야 하나요?
여러분이 개발자로 살아간다면 언젠가는 공부해야 할 과목입니다.
당장은 필요가 없을 수도 있지만 운영환경은 보통 linux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리눅스의 역사
- Multics프로젝트
- OS의 개념이 없었을 때, 소프트웨어를 멀티태스킹환경으로 실행할 수 있는 OS를 만들자
- 근데 이 프로젝트를 실패합니다
- AT&T벨 연구소의 켄 톰슨과 데니스리치의 UNIX개발 - C언어의 탄생
- 데니스리치는 UNIX를 만들면서 원격으로 접속 가능한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UNIX운영체제를 만들어낸다.
- UNIX운영 체제는 다중 접속 환경을 제공한다.
3. AT&T벨 연구소의는 유닉스를 운영할 수 없게 되었고 미국 실리콘벨리 기업에 팔게 됩니다. 기업들은 UNIX를 기반으로 한 여러 OS들을 개발하게 되고 유료화 선언을 하게 됩니다.
4. GNU(Gnu is not Unix) 프로젝트의 탄생
- 무료 유닉스를 만들어서 사용하자
- 핀란드 헬싱키의 리누스 토바즈 의 유닉스 기반의 리눅스 운영체제를 만드는데 성공. 헬싱키 대학교
2학년 시절 운영 체제 수업을 듣고 있던 중, 심심한 나머지(Just for Fun) 앤드루 태넌바움 교수가 취미로 만든 교육용 운영 체제인 미닉스 (MINIX) 컴퓨터에서 작업해서 자신이 갖고 있던 컴퓨터에서 돌아가도록 386 보호 모드에서 동작하는 리눅스를 개발하여 공개했다. 이와 관련해 모놀리식과 마이크로 커널에 대해서 태넌바움 교수와 토르발스 간의 논쟁은 유명하다. "Linus의 MINIX"라는 뜻을 담아 "리눅스(Linux)"라고 이름을 지었다.
5. 리눅스의 가계도
나머진 아래 링크..
복붙 하기 너무 귀찮다..
https://brave-planarian-384.notion.site/1-fa37437694ef4bf188872123a247abb2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 3강. dockerfile (mac 맥 m1) (0) | 2023.03.31 |
---|---|
ppk 키 -> pem 키로 변환, 서버 접속 (0) | 2023.03.30 |
PuTTy 설치 (mac 맥 m1) (0) | 2023.03.30 |
도커란? (0) | 2023.03.30 |
m1 docker 다운로드 /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문제 해결 (0) | 2023.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