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과정!
1. IP 주소 할당
컴퓨터와 인터넷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IP 주소가 필요하다.
IP 주소란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인터넷 상의 주소이다.
2. 모뎀(modem)
물리적으로는 인터넷 케이블선과 모뎀을 연결시켜줘야 한다.
모뎀이란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신호 변환 장치이다.
3. 공유기(home router)
모뎀에 공유기를 연결시켜주어야 한다.
공유기
- 여러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하나의 IP주소로도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
-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은 같은 네트워크 소속
공유기에 여러 기기들을 연결시켜주면 된다.
티비나 컴퓨터, 프린터는 공유기에 유선으로 연결,
스마트폰, 노트북은 와이파이를 통해 무선으로 연결
4. 스위치 (switch)
만약 공유기의 랜포트가 부족하여 또 다른 기기들을 연결할 수 없다면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 같은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보통 공유기의 랜(LAN) 포트 수가 부족할 때 사용
- 스위칭 허브 혹은 그냥 허브라고도 불림
참고 이미지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Net+Work의 합성어로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의미합니다.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야기)할 수 있는 것'
'어떤 연결을 통해 컴퓨터의 자원을 공유하는 것'
'컴퓨너타 기타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체계'
네트워크의 종류
- PAN (Personal Area Network)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영역 네트워크
ex) 집, 학교, 회사 건물 등
LAN을 구성하는 중요한 구성요소
- Ethernet : 유선 통신
- wireless LAN : 무선 통신 = 와이파이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 WAN (Wide Area Network)
광대역 네트워크
(여러 LAN이나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을 하나로 묶어서 멀리 떨어진 기기들도 통신이 가능)
ex) 은행의 ATM, wireless WAN (4G, 5G 등), Internet
Internet이란?
- the network of networks (네트워크들의 네트워크)
- 세계에서 가장 큰 WAN
- 글로벌 네트워크
- VAN (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 정보의 축적과 제공, 통신 속도와 형식의 변화, 통신 경로의 선택 등 여러 종류의 정보 서비스가 부가된 통신망
- ISDN (Inter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BISDN) 전화, 팩스, 데이터 통신, 비디오 텍스 등 통신관련 서비스를 종합하여 다루는 통합 서비스 디지털 통신망, 디지털 전송방식과 광섬유 케이블 사용.
크기 비교
WAN > MAN > LAN > PAN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일반 사용자나 회사, 기관 등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ex ) KT, SKT 등
✋🏻 질문 - 내가 가입한 ISP를 통해 어떻게 인터넷에 있는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걸까?
ISP들로 다 연결, 연결되어 있어 통신할 수 있다.
ISP들도 역할과 규모에 따라 tier가 나뉜다.
tier2 나 tier3은 상위 tier를 거쳐가야 함
tier 1 네트워크
- 국제 범위의 네트워크 보유
- 인터넷의 모든 네트워크 접근 가능
- 인터넷 중추 역할 (backbone)
- 트래픽 전송 비용 없음 (tier1끼리 비용 x, tier2나 tier3는 트래픽 전송 비용 발생함)
tier 2 네트워크
ex) KT, SKT, LG U+
- 국가/지방 범위 네트워크 보유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인터넷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기 위해 tier1 ISP에 비용을 내고 트래픽 전송
tier 3 네트워크
- 작은 지역 범위 서비스 제공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상위 ISP에게 비용을 내고 인터넷 트래픽을 구매해서 이를 통해 서비스
✋🏻 질문2 - ISP 네트워크 간에는 어떻게 연결되는 걸까?
라우터(목적하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로 연결
네트워크 용어
⚫️ 노드 (node)
네트워크를 이루는 장치(device)
ex) 컴퓨터, 공유기, 모뎀, 스위치 등
⚫️ 호스트 (host), end system
- 네트워크의 끝에 있는 노드
-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연결된 노드
- 클라이언트와 서버와 나뉨
ex) 컴퓨터, 핸드폰, 프린터 등
⚫️ 클라이언트 (client)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나 리소스를 요청하는 호스트
⚫️ 서버 (server)
- 다른 호스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 요청에 따라 데이터나 리소스를 제공
네트워크의 회선구성 방식
회선 구성 방식이란? 컴퓨터와 여러대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포인트 투 포인트 방식 : 중앙 컴퓨터와 단말기를 일대일로 연결하여 언제든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
- 멀티 드롭 방식 : 멀티 포인트 방식이라고도 하며 다수의 단말기들을 한개의 통신 회선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 회선 다중 방식 : 회선 다중 방식은 다중화 방식이라고도 합니다. 여러대의 단말기들을 다중화 장치를 활용하여 중앙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
참고
https://coding-factory.tistory.com/340
https://www.youtube.com/watch?v=oFKYzp6gGfc&list=PLcXyemr8ZeoSGlzhlw4gmpNGicIL4kMcX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S 와 웹 서버의 차이점 (0) | 2025.04.11 |
---|---|
Docker | 도커 이미지 생성, 빌드, 실행 (0) | 2025.03.27 |
Docker | 도커 명령어 (0) | 2024.11.24 |
Docker | 컨테이너, 도커, 쿠버네티스 아주 기초적인 개념 (0) | 2024.11.23 |
[네트워크] 프로토콜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