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TIL 9 | Java - 조건문 : if, Switch

개발 공부 2022. 9. 27. 18:16

조건문  :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실행할 문장을 작성

•  if ~ else 

  • 조건식 결과는 반드시 boolean형이 되어야 한다.
  • 조건식이 참이면 if문 안에 블록이, 거짓이면 else문 안에 블록이 실행된다.
  • if 문장은 else 없이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0~100까지 랜덤값
int point = (int)(Math.random() * 101); //0~100
System.out.println("점수 : " + point);
		
//점수60이상이라면 ~~~
if( point >= 60 ) {
	System.out.println("60점 이상입니다");
	System.out.println("합격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60점 미만입니다");
	System.out.println("불합격입니다");
}

•  if ~ else if ~ else

  • 여러 조건들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조건문
  •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조건을 검색하면서 내려오므로 조건식 설정에 주의할 것.
//입력받은 정수에 따라서 A,B,C,D.F로 출력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grade = null; //변수의 선언(없는 값)
			
				System.out.print("정수>");
				int point = scan.nextInt();
			
				if( point >= 90 ) {
					//조건검사 또
				if( point >= 95 ) {
					grade = "A+";
					} else { //90~94
					grade = "c";
					}
				} else if ( point >= 80 ) { //80-89
					grade = "B";
				} else if ( point >= 70 ) {
					grade = "C";
				} else if ( point >= 60 ) {
					grade = "D";
				} else if ( point >= 50 ) {
					grade = "F";
				} 
				
				System.out.println(grade);

•  switch ~ case

  • case문 뒤에 사용되는 값은 변수를 사용할 수 없고, 반드시 상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 switch ~ case문에서 default는 if~else에서 else와 비슷한 효과를 가집니다.
int a = 1;
		
//switch 구문의 ()에는 값이나 값에 대한 연산식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switch (a) {
case -1: //-1,0,1세경우 다 실행
case 0:
case 1:
System.out.println("1입니다");
case 2:
System.out.println("2입니다");
case 3:
System.out.println("3입니다");
case 4:
System.out.println("4입니다");

default:
System.out.println("1~4가 아님");
break;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tring grade = null; //변수의 선언(없는 값)
		
		System.out.print("점수>");
		int point = scan.nextInt();
		
		switch (point/10) {		
		case 9:
			if(point > 94){
				System.out.println("A+"); //grade = "A";
			} else {
				System.out.println("A");
			}
			break;
		case 8:
			System.out.println("B");
			break;
		case 7:
			System.out.println("c");
			break;
		case 6:
			System.out.println("D");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F");
			break;
		}
	String[] arr = {"안녕","hello","사요나라","$#@"};
//		System.out.println(arr[0]);
		
		/*
		 * Math.random()을 사용해서 배열의 인덱스 범위(0~3)까지 랜덤수를 만듭니다.
		 * 랜덤수를 배열의 index의 적용해서 출력된 단어가 한국어,영어,일본어,알수없는언어 인지 처리
		 */
		int num = (int)(Math.random() * 4);
		System.out.println("선택된 단어:" + arr[num]);
		
		//switch 안에는 정수, 문자여야함
		switch (num) { 		
		case 0:
			System.out.println("한국어");
			break;
		case 1:
			System.out.println("영어");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일본어");
			break;
		default:
			System.out.println("알수없는언어");
			break;
		}

 

2022.09.22.thu / cours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