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1 | Java - 반복문 : For
·
Java
• for 다른 반복문과 다르게 제어조건을 한꺼번에 지정 정확한 반복 횟수를 알고 있을 경우 while문보다 유용하다 다른 제어문과 같이 실행문장이 한줄이면 블록 {}을 생략가능 for(초기값; boolean형 조건식; 반복 표현식) { 반복할 실행문; } 예제 01) 1~10까지 합계, 10부터 1까지 반복 //1-10합계 int sum = 0; for(int i = 1; i = 1; i--) { System.out.println(i); } 예제 02) //정수를 입력받고, 입력한 정수가 소수인지 판별 //소수 ->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1과 자기자신인 수 //조건 약수의 개수가 2개인 수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ln("정수>"..
TIL 10 | Java - 반복문 : While
·
Java
반복문 • while 조건식을 만족하는 동안 반복문을 실행 (true 면 실행, false 면 while문 빠져나감) 조건식 안에 true를 넣으면 무한루프가 발생하기 때문에 반드시 탈출 구문을 넣어야 함 예제 01) 반복문 돌리기, 횟수 누적하기 //int a = 1; //제어변수 : 반복문 횟수를 결정할 변수 //while(a
TIL 9 | Java - 조건문 : if, Switch
·
Java
조건문 :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실행할 문장을 작성 • if ~ else 조건식 결과는 반드시 boolean형이 되어야 한다. 조건식이 참이면 if문 안에 블록이, 거짓이면 else문 안에 블록이 실행된다. if 문장은 else 없이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다. //0~100까지 랜덤값 int point = (int)(Math.random() * 101); //0~100 System.out.println("점수 : " + point); //점수60이상이라면 ~~~ if( point >= 60 ) { System.out.println("60점 이상입니다"); System.out.println("합격입니다"); } else { System.out.println("60점 미만입니다"); System.out.pr..
TIL 8 | Java - Array : 배열
·
Java
배열 같은 데이터 유형 변수를 여러 개 선언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사용 배열의 구조 배열 선언: or 배열 생성: = new //배열은 선언,생성,초기화 과정을 거칩니다. //1.배열의 선언 int[] arr; //2.배열의 생성 arr = new int[5];//크기 고정ㄴ System.out.println(arr); //배열은 출력해도 값이 나오지 않음, 주소값(위치)이 나옴 //3.배열의 초기화 arr[0] = 10; arr[1] = 20; arr[2] = 30; arr[3] = 40; arr[4] = 50; //arr[5] = 60; error //4.배열의 사용 System.out.println("arr 첫번째 상자:" + arr[0]); System.out.println("arr 세번..
TIL 7 | Java - Scanner / Math.random()
·
Java
- Scanner API 사용법 1. 스캐너 객체 생성 ex)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2. 입력 받을 데이터 타입에 따른 메서드 호출. ex) scan.next(), scan.nextLine(), scan.nextInt(), scan.nextDouble() 등 - next(): 공백을 포함하지 않는 문자열을 입력 받을 때 - nextLine(): 공백을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 받을 때 - nextInt(): 정수를 입력 받을 때 - nextDouble(): 실수를 입력 받을 때 3. 스캐너 객체 종료. ex) scan.close(); -랜덤 수 출력하는 법 (Math.random() * 범위) //0이상~1.0미만 랜덤값 출력 //프로그램에서 랜덤한 값은 유효..
TIL 6 | Java - Operator : 연산자
·
Java
연산자 연산자는 변수의 값을 변경하거나 대입하는데 사용 0으로 나눌 경우 오류 발생 ★ 계산 우선 순위 소괄호 > 단항 > 이항 > 삼항 > 대입 ㅇ 단항 연산자 : 피 연산자가 하나인 연산자 //단항 연산자 int i = -3; //-3 int j = -i; //3 System.out.println(j); //3 증감 연산자 //++, -- //보편적으로 아래 식을 많이 사용함 int k = 1; k++; System.out.println(k); k--; System.out.println(k); //증감 연산자는 a++, ++a 의미가 다름 k = 1; int h = k++; // ++가 뒤에 붙으면 먼저 대입 후 이후 1이 증가 System.out.println("k값 : " + k); //2 Sys..
TIL 5 | Java - Casting : 형변환
·
Java
형변환 데이터 크기 비교 # byte(1) < short(2) < int(4) < long(8) < float(4) < double(8) 자동형변환 작은 크기를 가지는 타입이 큰 크기를 가지는 타입에 저장될 때 자동 형변환이 일어남 float는 4바이트이지만 표현할 수 있는 값의 경우의 수가 정수형보다 크다. int형보다 작은 데이터타입의 연산은 자동으로 int형으로 형 변환이 이루어짐 byte b = 10; int s = b; // byte가 int형으로 자동 형변환 short i = b; //byte가 short형으로 자동 형변환 long l = b; //byte가 long형으로 자동 형변환 char c = '가'; int j = c; // char가 int형으로 자동 형변환 System.out.pr..
TIL 4 | Java - Variable : 변수
·
Java
변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변수 선언 //타입 변수이름 int age; age = 20;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초기값 주기 int age = 20; //변수 값 변경 age = 10; //변수에 다른 변수 값을 넣을 수 있다 int result = age; //변수에 연산의 결과도 저장할 수 있다 int result = age + age; //20 //변수에 문자열 저장 String str = "10"; 같은 타입의 변수는 ,(콤마)를 이용해서 한꺼번에 선언 가능 ex) int a, b, c; 첫번째 글자는 문자 / $, _ 이어야 한다. 첫 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 다른 단어가 붙을 때 대문자로 = camel 표기법 변수 범위 (Variable Scope) 변수는 해당 중괄..